평가인증 2

[평가제 시리즈 3-2] 교사-아동 상호작용과 개별지원 Q&A

– 민감한 관찰과 따뜻한 개별지원의 실천 이야기Q1.영유아가 결석했을 때 어떻게 대응하시나요?A. 오전 10시경까지 등원이 확인되지 않으면 보호자에게 연락하여 결석 사유를 파악합니다.연락이 되지 않거나 2일 이상 결석 시 가정방문을 하며, 아동의 소재가 불분명할 경우 112에 신고하여 아동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Q2. 학부모의 의견을 어떻게 개별지원에 반영하셨나요?A. 모방 발화가 늘었다는 학부모의 이야기를 듣고, 언어치료실과 연계하여 IEP 시간에 그림카드를 활용한 모방 발화 연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Q3. 발달평가 결과를 어떻게 놀이로 연계하여 지원하셨나요?A. 젓가락 사용이 어려운 아동의 경우, 가정과 협의하여 어린이집에서도 식사시간에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을 지원하고 IEP 목표를 수립..

[평가제 시리즈1 ] 2024년 평가제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현직 원장이 짚어주는 핵심 변화 5가지 매해 3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 '어린이집 평가제'.2024년 개정된 평가제에대해 많이 궁금하실것 같아 평가제에 대한 내용으로 글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매번 익숙해질 만하면, 제도는 조금씩 달라지고 현장은 또 그에 맞춰 발맞춰야 하지요.현장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통합이 되면 어린이집의 평가제는 어떻게 되느냐가 가장 큰 관건 인거같아요 평가제에 따른 다양한 의견과 이견이 있지만 공보육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교육제도의 개편이 필요해 보입니다. 특히 2024년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평가지표는 단순히 ‘서류’나 ‘환경’을 넘어서,과정 중심, 실천 중심, 그리고 지속 가능한 질적 운영을 더욱 강조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현직 원장으로서 직접 현장에서 느낀 변화들을 정리해 드릴..